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경,‘람사르 습지도시’국제인증 확정!!

보도자료

by 황식 행정사 2025. 2. 6. 13:55

본문

- 람사르협약, 64차 상임위원회에서 신규 인증 발표

- 문경 돌리네습지, 도내 첫 람사르 습지 인증(2024. 2.)에 이은 쾌거

 

△문경돌리네습지(가을)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지난 124일 스위스 글랑에서 개최된 제64차 람사르협약 상임위원회(의장국 중국)에서, 문경시가 람사르습지도시인증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람사르협약 상임위원회에서는 우리나라 문경시와 김해시를 포함해 16개국 31개의 신규 람사르습지도시 인증통과를 발표했다.

 

문경시는 20239월 환경부로부터 람사르습지도시 국내후보지로 선정되어, 202311월 람사르협약 사무국에 인증신청서를 제출하여 지난 1월 인증을 통과했으며, 올해 7월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개최되는 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서를 받는다.

 

람사르습지도시는 람사르습지 인근에 있고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에 지역사회가 모범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한 도시나 마을로 람사르협약에 따라 인증받은 지역이다.

 

람사르습지도시는 지역 농·수산물이나 생산품 판촉, 생태관광 활성화 프로그램 등에 람사르습지도시 상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경부로부터 습지의 보전·관리, 인식증진, 생태관광 기반 시설 확충 등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받는다.

 

△문경돌리네습지(봄)

 

이번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으로 문경 돌리네습지는 습지 관련 국내외 인증사업 그랜드슬램(2017. 6월 환경부 국가습지, 2024. 2월 람사르 습지)을 달성했다.

* 돌리네(doline): 석회암지대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으면서 형성된 접시 모양의 웅덩이로 빗물 등이 지하로 잘 빠져나가 통상적으로 물이 고이지 않는다.

 

람사르습지도시는 현재 우리나라 총 7개소(창녕군 우포늪, 인제군 용늪, 제주시 동백동산습지, 순천시 순천만, 서귀포시 물영아리오름, 고창군 운곡습지·고창갯벌, 서천군 서천갯벌)를 포함해, 전 세계 16개국 43개 지역이 인증되어 있는데, 이번 추가 인증으로 앞으로 전 세계 26개국 74개소로 확대된다.

 

한편, 경상북도는 20249월 국가습지로 지정된 영양 장구메기습지를 올해 람사르습지 등록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경곤 경상북도 기후환경국장은 문경 람사르습지도시 인증 확정은 문경시와 지역주민이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 등 자발적으로 노력한 결실이다앞으로 지역의 우수한 자연생태자원을 지속 가능한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람사르 습지 등록범위

 

문경 돌리네 습지 개요

 

1. 현황

(위치) 경북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일원

(면적) 0.494(49.4헥타르)

 

2. (생태적 가치) 석회암지대의 돌리네에 형성된 내륙산지형 습지로 멸종위기종 8종 포함 총 932종의 야생생물 서식하는 등 생물다양성 풍부

 

식물(466), 조류(60), 포유류(17), 육상곤충(354), 양서파충류(13), 대형무척추동물(22)(2020년 조사결과)

 

[문경 돌리네 서식 멸종위기종 현황]

* 멸종위기 (1) : 수달

* 멸종위기 (7) : 구렁이, 물방개, 붉은배새매, 팔색조, 담비, , 하늘다람쥐

 

3. (국제적 가치)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되는 돌리네 지형에 형성된 독특한 습지로서 국제적으로 그 분포가 희귀하여 지형지질학적 가치를 지님

 

용어 설명

 

(습지) 담수(민물), 기수(민물과 바닷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 또는 염수(바닷물)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함(습지보전법 제2조제1)

 

내륙습지는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 , 하천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이고, 연안습지는 만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함

 

(돌리네, doline) 학술용어로서 석회암지대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빗물지하수 등에 용해되어 형성된 접시모양의 웅덩이(와지)말함(일반적으로 빗물 등이 지하로 배수가 잘 되어 물이 고이지 않는 지역)

 

(람사르협약) 물새서식처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약칭) 습지에 관한 협약(Convention of Wetlands),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

 

습지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촉구하는 국제협약. '712월 이란 람사르에서 채택('977월 발효). 우리나라는 '973월에 101번째로 가입, 172개국 가입

우리나라는 문경 돌리네, 창녕 우포늪 등 26개소를 람사르습지로 등록

 

(람사르 습지) 람사르협약에서 규정하는 9개 등록기준(대표적이고 희귀하거나 독특한 습지유형을 포함하는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중요한 지역 등)에 부합되는 습지를 대상으로 개별 당사국에서 람사르협약 사무국에 등록을 신청하여 인정받은 습지를 말함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 개요

 

1. 추진배경

람사르협약*에서 습지와 견고하고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도시에 생태적 도시 브랜드화 기회를 제공하고자 제12차 당사국총회(‘15.6)에서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채택

*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우리나라 ’97년 가입, 전세계 172개국 가입)

한국튀니지 공동 발의(’15.1, 38차 상임위원회)

 

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18.10, UAE)에서 한국 4개 도시(창녕인제제주순천) 7개국 18개 도시가 최초로 람사르습지도시로 인증

 

2. 람사르습지도시(Wetland City Accreditation of the Ramsar Convention)

람사르습지 인근에 위치하고, 습지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지역사회가 참여활동하는 도시(마을)로서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인증받는 도시

 

3. 인증기준 : 람사르협약에서 정한 6개 기준

람사르습지와 연계성(위치), 습지 생태계서비스 보전방안, 습지 복원관리방안, 습지의 통합적 보전계획(토지공간이용), 습지 혜택서비스 교육홍보(습지교육센터 등 설치운영), 습지도시 관리, 인식증진 등을 위한 지역공동체(지역위원회) 구성운영

 

4. 인증절차

인증신청서 제출(당사국람사르협약 사무국) 람사르협약 사무국(독립자문위원회) 검토결정 상임위원회에 보고 및 발표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인증서 수여

 

5. 인증시 기대효과

(대외) 제도 제안국으로서 국제 협약 선도적 이행, 국제사회 위상 강화

람사르습지도시에 대한 협약 당사국들의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

 

(대내) 인증서현판 수여, 습지도시 로고(브랜드) 독점 사용으로 친환경적 지역이미지 향상(지역상품 경쟁력 향상), 인증사업의 국고 우선 지원 등

관련글 더보기